미합중국 육군
'''Army Strong (육군은 강하다)'''[2]
'''This We'll Defend! (우리가 지킬 것이다!)'''
March along, sing our song,
with the Army of the free
자유로운 자들의 육군[3]
과 함께 행진하고 노래하자Count the brave, count the true,
who have fought to victory
승리를 위해 싸워온 자들의 용감함과 진실됨을 세어보아라
We're the Army and proud of our name
We're the Army and proudly proclaim
자랑스러운 우리 육군은 자랑스럽게 선언하되
First to fight for the right,
And to build the Nation's might,
권리를 위해 싸우는 데에 앞장서며 국가의 힘을 키운다
And The Army Goes Rolling Along
육군은 계속 전진한다
Proud of all we have done,
Fighting till the battle's won,
우리가 해낸 일들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승리를 쟁취할 때까지 싸워나간다
And the Army Goes Rolling Along.
그리고 육군은 계속 전진한다
Then it's Hi! Hi! Hey!
The Army's on its way
Count off the cadence loud and strong(2, 3!)
모두들 주목! 육군이 출정한다. 구령에 맞추어서 큰 소리로 외치자!
For where e'er we go,
You will always know
That The Army Goes Rolling Along.
우리가 가는 어느 곳에서도 알 수 있게, 육군은 계속 전진한다
- (The Army Goes Rolling Along [육군은 전진한다] 미 육군가)
1. 개요
미합중국 육군(美合衆國 陸軍, United States Army, USA)은 미합중국 국군(United States Armed Forces)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군으로 미합중국 국방부(U.S. Department of Defense, DoD)를 구성하는 3대 군부 중 하나인 동시에 7개 현역복무 기관 중 하나이다. 5대 군사 조직 중 두세 번째로 많은 국방 예산이 배정되며[4] , 세계 1위의 지상군 전력을 가지고 있다.
2. 상세
미 육군의 역사는 1775년 6월 14일 영국군에 대항하기 위해 창설된 미 대륙 육군(Continental Army)을 전신으로 두고 있으며, 미국 독립전쟁 이후인 1784년 6월 3일을 기하여 미합중국 육군으로 개칭되었다. 미 육군은 미합중국 국방부의 3개 군부 중 하나인 육군부의 일부로 임명직 민간인 공무원인 육군부 장관Secretary of the Army (SECARMY)을 수장으로 한다. 미 육군의 최고위 군 장교는 합동참모본부의 일원인 육군참모총장이다.
2020년 1월 현재 미 육군 현역은 486,329명이며, 육군 주방위군은 332,000명, 육군 예비군은 191,000명이다.
미 육군의 주된 임무는 전투사령관의 지원 아래 국지적 분쟁의 범위에서부터 군사작전의 전체 영역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지상을 지배하고 국가간 전쟁에 즉각 대응하여 싸워서 승리하는 것이다. 미 육군은 세계 분쟁에 개입하는 미합중국 정부의 주요한 육상 군사력이다.
3. 역사
[image]
요크타운 전투
1775년 세워진 대륙군에 기초한다. 영국군과 싸우기 위해 13개 주의 민병대들이 동일한 명령체계를 기반으로 움직이게 되었고 지휘관이 조지 워싱턴이었다. 미국이 독립을 인정받으면서 1783년에 웨스트포인트 등의 기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군대는 해산되나 일부 상비병력을 바탕으로 1784년에 미 육군이 결성되었다.
시작은 미약하였다. 일단 독립 당시 미국 인구가 400만밖에 안 됐고 상비군도 빈약했다. 서부개척시대에는 아메리카 원주민이나 멕시코 등과 싸우기도 했다.
[image]
그러나 남북전쟁 시기에 이르면 총력전을 이룰 만큼 규모가 커지게 되고 19세기 말엔 스페인 등과 전쟁을 벌여 승리한다. 필리핀과 더러운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이르면 유럽 웬만한 국가보다 더 많은 인구와 경제력을 바탕으로 5위권에 드는 육군력을 구성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지금도 그 위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때는 소련군 육군이 주요 경쟁자였지만 현재는 러시아 육군, 인민해방군 육군이 추격하고 있다. 다만 미합중국 육군과의 격차는 아직 엄청나다.
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육군 항공대를 두었으나 1947년에 미 공군으로 독립하였다[5] . 사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부터 육군과 육군항공대는 해군과 해병대처럼 군정권이 따로 놀았다.
베트남, 아프간, 이라크 등에서 미군의 삽질로 특히 미 육군에 대해서 저평가가 종종 일어나지만, 미 해군이나 미 공군의 도움없이 육군만으로 싸워도 전력상 최강은 여전히 미군이다. 위의 세 전쟁은 미 육군이 약해서 진 전쟁이라기보다는 수뇌부들의 무능과 정치적 문제, 여론 악화 등으로 실패한 전쟁들이다. 비록 크루세이더, RAH-66이 취소되는 등 악재가 있긴 했지만 기갑, 보병, 보급, 육군항공 등 육상 전력의 많은 분야에서 미 육군은 여전히 최강이며 전쟁 시에 미 육군이 항상 미 공군과 미 해군의 CAS, 순항미사일, 함포 사격 등의 지원을 받는다는 걸 생각하면 다른 나라들과의 격차는 더욱 커진다.
사실 미 육군이 저평가받는 이유는 미 공군과 미 해군의 영향도 없지 않다.미 공군, 미 해군은 전 세계와 비교해도 전력 상으로 우위일 정도의 압도적 전력이지만 미 육군은 사상자가 많이 발생하는 지상전의 특성과 미 공군/미 해군에 비해 인원 대비 비교적 적은 예산, 해공군에 비해선 육성이 쉬워 규모/화력/기술력 면에서 미 육군에 비빌 만한 국가들이 여럿 존재함[6] 등으로 인해[7] 미군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약해 보이기 때문 그리고 미군은 사상자 발생에 '''매우''' 민감해서 지상전에서의 사상자 비율을 줄이기 위해 공군, 해군, 육군 항공대 등의 지원 전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실제로 미군 전사자들의 대부분은 육군이 차지하고 다음이 해병대다. 물론 미군 가운데 많은 인원이 지원하는 군종이 육군이긴 하나 지상전의 특성상 피해가 극심한 것도 육군이고 때로는 아군의 오폭이나 오사로 희생되는 경우도 다반사다. 게다가 테러와의 전쟁으로 장기간 파병지에 주둔하는 경우도 늘어가면서 피로도 역시 누적되는 일도 생긴다. 주한미군이나 주일미군 같은 꿀맛 복무지에 걸리면 좋기라도 하겠지만 어차피 주요 작전지에 최우선적으로 투입하는 미군답게 이런 건 그냥 희망사항으로 여겨야 한다. 이는 육군 병력 중에서도 특히 보병이나 기갑 전력이 굳이 피 흘려가며 싸울 일을 줄이는 대신, 마치 '육군 얘들은 약해 빠져서 안 싸우는 거 아냐?'라는 오해를 살 수 있다.
[image]
하지만 2010년대 후반들어 미 육군 내부에서는 21세기에 육군이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전투에서 이길 수 있는지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7년 폴리티코가 습득한 미군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 주둔 미군의 예비대 성격이자 신속대응부대인 제173 공수여단과 우크라이나군의 합동 훈련에서 미 육군에 산재한 여러 문제점과 미군의 취약점들이 터져나왔다고 한다.
주요 문제점으로는 GPS에 의존하는 미군의 주요 자산에 대한 전자전 공격 시 전투력이 급감하는 점, 러시아와 같은 강력한 기갑부대와 전투시 매우 부족한 화력, 그리고 저렴한 가격대의 드론을 사용해 미군의 주요 주둔지를 파악해 포격하는 데 있어 이에 대응할 만한 자산이 전혀 없다는 점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치기 위해 그 강력하다는 미군이 라트비아군에 GPS 재밍에 대한 해법을 전수받았고 독일에 주둔중인 2기병연대는 루마니아와의 훈련 중에 값 싼 드론에 대항하기 위해 루마니아 야전 방공망의 보호 아래서 작전을 수행해야 했다고 한다.
따라서 육군은 과거와 달리 사단~군단급 작전을 지향하고 있으며, 편제와 장비를 경량화하는 미합중국 해병대와는 달리, 기갑여단전투단을 증설하고, 화력여단을 신설하는 등, 전체적으로 '무거워'지고 있다. 그동안 어벤져에 의존하던 야전 방공체계 역시 스트라이커 방공 개량형 도입으로 보완할 예정이고, M109A6 팔라딘 자주포를 대체할 M109A7과 신형 자주포 양산이 예정되어 있다. 중국과 러시아 등, 기존 가상적국들이 전력을 강화한 2020년대, 미 육군은 테러와의 전쟁으로 경량화에 집착했던 2000년대 초반과는 달리, 중장비로 무장한 고화력 군대로 변모할 것이다. 해당 보고서를 읽은 전직 미군 장교는 이 문제가 단순히 해당 여단의 문제가 아닌 미 육군 전체의 문제라는 것을 지적하며 이에 어서 빨리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
위와 같은 이슈성 보고서는 매년 엄청나게 쏟아져 나오며 이중 어느정도 이슈화 되는 것도 상당히 많다고 봐도 무방하다. 보통 실전경험에서 파악한 문제점(작게는 소부대전술부터 크게는 국가전략까지)을 지적하는 각종 보고서가 쏟아져 나온다. 이렇게 나온 보고서는 단순히 해당 군내에서만 소화되지 않고 국방관련 단체, 위원회, 연구소와 공유되어 치열하게 토론된다. 이런 끊임없는 문제점 파악과 시정/개선을 위한 보고서를 통해서 실제 개선이 이루어지는 게 미군의 가장 무서운 힘이다.(심지어 제대한 예비역의 주장이 받아 들여지기도 한다. 물론 공식 이슈화는 이에 찬성하는 현역에 의해 이뤄지지만) 이런 보고서는 각군, 각부대, 각 병과의 이해관계 뿐만 아니라 예산, 국가전략 등과도 얽혀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매우 치열하게 논쟁이 붙기도 한다. 성공적으로 문제점을 지적한 보고서 작성자는 군내 명성을 얻게되며 진급에도 매우 유리하게 된다.(심지어 이미 2차 대전 영화들에 이런 내용이 종종 나온다.) 이런 논쟁적인 보고서 중엔 포병이 보병부대 내로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보고서도 있었다. 최일선만 골라서 투입되는 엘리트 부대 영관급 보병장교가 포병부대의 고가치표적에 대한 타격은 항공여단 공격헬기나 공군에 일임하고 현재의 포병체제는 최소한 중대단위, 가장 이상적인 경우는 소대단위까지에 배속돼야 효과적인 작전이 가능하다고 실전사례를 들어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다.
4. 주요 수뇌부
- 주요 기술·행정사령부
- 육군훈련교리사령관 United States Army Training and Doctrine Command (TRADOC): 폴 펑크(Paul E. Funk II) 대장
- 육군군수사령관 United States Army Materiel Command (AMC): 에드워드 달리(Edward M. Daly) 대장
- 육군전력사령관 United States Army Forces Command (FORSCOM): 마이클 개릿(Michael X. Garrett) 대장
- 육군미래사령관 United States Army Futures Command (AFC): 존 머리(John M. Murray) 대장
- 주요 통합전투사령부 구성군
- 육군 중부사령관 United States Army Central (ARCENT): 제임스 테리(James L. Terry) 중장
- 육군 북부사령관 United States Army North (ARNORTH): 페리 위긴스(Perry L. Wiggins) 중장
- 육군 남부사령관 United States Army South (ARSOUTH): 조지프 디살보(Joseph P. DiSalvo) 소장
- 육군 아프리카사령관 United States Army Africa (USARAF): 대럴 윌리엄스(Darryl A. Williams) 소장
- 육군 유럽사령관 United States Army Europe and Seventh Army (USAREUR): 도널드 캠벨 주니어(Donald M. Campbell, Jr.) 중장
- 육군 태평양사령관 United States Army Pacific (USARPAC): 로버트 브라운(Robert B. Brown) 대장[8]
- 육군 특수작전사령관 United States Army Special Operations Command (USASOC): 프랜시스 M. 보우데트(Francis M. Beaudette) 중장
- 수상전개지원사령관 Surface Deployment and Distribution Command (SDDC): 토머스 리처드슨(Thomas J. Richardson) 소장
- 육군우주미사일방어사령관/육군전략사령관 United States Army Space and Missile Defense Command/United States Army Strategic (USASMDC/ARSTRAT): 리처드 포미커(Richard P. Formica) 중장
- 직할대
- 미국육군사관학교장 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USMA): 로버트 캐슬렌(Robert L. Caslen) 중장
- 육군시설관리사령관 United States Army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IMCOM): 케네스 달(Kenneth R. Dahl) 중장
- 육군네트워크기술사령관 Army Network Enterprise Technology Command (NETCOM): 존 베이커(John W. Baker) 소장
- 육군정보보안사령관 United States Army Intelligence and Security Command (INSCOM): 크리스토퍼 발라드(Christopher S. Ballard) 소장
- 육군시험평가사령관 U.S. Army Test & Evaluation Command (ATEC): 존 찰튼(John W. Charlton) 소장
- 육군범죄수사사령관 United States Army Criminal Investigation Command (USACIDC): 데이비드 글레이저(David P. Glaser) 준장
- 육군의무사령관 United States Army Medical Command (MEDCOM): 나디아 웨스트(Nadja West) 중장
- 육군워싱턴방위사령관 United States Army Military District of Washington (MDW): 마이클 하워드(Michael L. Howard) 소장
- 육군공병사령관 United States Army Corps of Engineers (USACE): 토드 세머나이트(Todd T. Semonite) 중장
- 육군예비군사령관 United States Army Reserve Command (USARC): 찰스 러키(Charles D. Luckey) 중장
- 육군사이버사령관 United States Army Cyber Command (ARCYBER)
5. 특징
아프간전 초기까지만 해도 현대 미 육군의 스타일은 '''빠르고 강하게''' [11] 로 요약된다. 막강한 수송및 보급력을 바탕으로 공군이 제공권을 장악하는 동안 일단 들여닥쳐서 있는 대로 화력을 쏟아붓고 산개해서 정리하는 교리다.[12] 이게 왜 대단한 거냐면, 수송빨로 공세종말점을 연장하면서 전진하는 짓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싸움을 하면 병사가 지치고, 연료가 떨어지고, 탄약도 부족해지기 마련인데, 이걸 '''물량빨로''' 씹어먹고 병력도 교대시키면서 전진+ [13] 화력집중을 도모했기 때문이다.[14] 게다가 기술이 더 좋아지고 화력의 상당수를 공군이 담당하게 된 걸프전 시점으로 화력은 공군이, 육군은 '''전진 '만' '''하는 말도 안 되는 그림까지 나왔다. 다만 아프간 전체를 장악한답시곤 군사 자원을 알박기식으로 뿌려 놓고, 정작 이라크전을 추가로 개전하여 거기로 군사 자원이 대부분 빨려 가 아프간 주둔 병력의 밀도는 크게 낮아지는 바람에 사실상 어디에 있든 항상 포위되어 있는 상황이 되면서 그 압도적인 화력과 기동성이 힘을 잘 못 쓰게 되고[15] , 이라크 전쟁과 아프간 전쟁을 겪으면서 이른바 비정규전에 대한 공포감이 상당해졌다. 결국 미군의 교리도 바뀌게 된다. 수적 열세 상황[16] 을 극복하기 위해 미 육군, 특히 보병은 점점 더 보수적이고 신중한 스타일로 바뀌고 있다. 구시대적이라고 참호 잘 안 파던 미군이었지만 요즘은 일단 어디 들어가기만 하면 일단 헤스코로 요새 수준의 진지를 쌓고 본다.[17][18][19] . 알보병 뿐만 아니라 기계화 부대들도 얄짤없다. 아니, 요즘은 아프간에선 기계화 부대들이 오히려 요세화에 더 집착한다. 탈레반이 각종 기계화 자산들이 고가라는 것 + 기계화 자산 운용 부대는 '사람'이 보병 부대에 비하면 훨씬 적으므로 자체 보병 전투력은 훨씬 약하다는 것을 알고 자꾸 노리고, 그걸 지켜준답시고 전투력도 보병보다 떨어지는 헌병/공병들도 같이 피해를 입기 때문이다.
6. 훈련
- Fort Benning - 조지아주 소재. 보병 병과.
- Fort Jackson -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도 콜럼비아 소재. 행정 병과및 차량정비 병과. 아울러 미 육군 유일의 육군 훈련교관 양성학교가 자리하고 있다. 훈련소 부지가 모두 주민들이 기증한 땅으로 이뤄져 있으며, 미국내에서 최대규모이다.
- Fort Knox[20] - 켄터키주 소재. 일반인들에게는 미국 최대의 금 보관소로 더 유명하다. 기갑 병과로, 육군 뿐만 아니라 해병대 기갑특기 쪽도 교육한다.
- Fort Leonard wood - 미주리주 소재. 공병, 화학, 군사경찰 병과.
- Fort Sill - 오클라호마주 소재. 포병 병과.
아울러 미 육군은 Split Option과 Delay Entry를 제공하고 있는데 Split Option이란 한 해에는 기초군사훈련을 받고 돌아간 뒤 이듬해에 병과 훈련소로 입소하는 이른바 분할입대방식을 말하고 Delay Entry는 입영을 연기하는 방식을 의미하는데 대개 훈련소에 입소하는 연령층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난 직후가 대부분이고 또 개인사정으로 해당년도에 입대를 할 수 없는 사람들이 이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일단 미국내 모든 직장들이 고졸을 기본으로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이 방식으로 입대를 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신병들이 이런 식으로 입대를 한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제 기간에 입대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군입대는 모병제를 실시하는 미국에서도 웬만한 결단력을 요구하는 사항이기에 가족들의 설득도 필요하며[21] 일부 어린 신병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해야 하기 때문에 학업을 끝마치기 전까지는 입대가 불가능한 이유도 있기 때문이다.
[image]
'''육군 복무장(Army Service Ribbon)'''
기초군사훈련및 보수훈련을 모두 수료하고 난 후에 얻어지는 약장으로 정복에 단다.
참고로 미 육군 기초군사훈련은 3주로 이뤄져있다.
- 적색단계(Red Phase): 이 기간은 주로 군기확립 및 정훈교육에 중심이 맞춰진다. 당연한 일이지만 이 기간에 많은 얼차려를 당하게 되니 행여나 벗어날 생각은 하지 않는게 편하다[22] . 체력훈련이 중점적으로 행해지는 기간이다. (주요군사훈련: Victory Tower, 독도법, 통신법, 응급처치훈련, 화생방 훈련)
- 백색단계(White Phase): 이 기간에는 사격훈련에 대한 중점적인 교육이 실시된다. M4 카빈의 구조와 각 부품에 대한 설명, 그리고 취급과 관리에 대한 것들이 교육되고. 올바른 사격자세와 영점사격,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격시험등이 치뤄진다. 아울러 처음으로 야영훈련이 시작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훈련병들 중 리더십 자질이 있는 사람들이 두드러지는 기간이기도 하다. 더불어 미 육군 기초군사훈련기간 중 가장 긴 기간이다. 또한 여담으로 이때를 기점으로 교관들의 태도가 비교적 부드러워진다. (주요군사훈련: 개인화기 안전수칙, 영점사격, 실탄사격훈련, 사격시험)
- 청색단계(Blue Phase): 기초 군사훈련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된다. 이 기간에는 거의 야전훈련에 집중되어지는데 각개전투 훈련 및 중화기 취급훈련외에 수류탄의 종류식별 및 투척훈련이 실시된다. 그리고 이 기간 막바지에 종합 야전훈련인 Victory Forge가 실시된다. 이때에는 군기만 잃지 않으면 교관들이 농담 정도는 할 정도로 친근해진다.(주요군사훈련: 각개전투훈련, 야간침투훈련, 중화기훈련, 수류탄훈련, Victory Forge)
사격시험에서 합격점수대는 다음과 같다.
- Marksman: 23-29발 명중
- Sharpshooter: 30-35발 명중
- Expert: 36-40발 명중
{17세-21세 기준}
- Push-Ups: 남 42회, 여 19회
- Sit-Ups: 남녀모두 53회
- 2-Mile Run[23] : 남 15분 54초, 여 18분 54초
7. 편제
- 육군전력사령부(United States Army Forces Command, FORSCOM) - 예하 제1군 노스캐롤라이나 Ft. Bragg
- 육군훈련교리사령부(United States Army Training and Doctrine Command, TRADOC)[24] - 버지니아 Ft. Eustis
- 육군물자사령부(United States Army Materiel Command) - 앨라배마 Redstone Arsenal
- 중부육군(United States Army Central) - 제3군(Third US Army) Patton's Own[25] 사우스캐롤라이나 Shaw Air Force Base; Sumter County, South Carolina
- 북부육군(United States Army North) - 제5군(Fifth US Army) 텍사스 Fort Sam Houston, Texas[26]
- 남부육군(United States Army South) - 제6군(Sixth US Army) 텍사스 Fort Sam Houston
- 유럽-아프리카육군(United States Army Europe and Africa) - 제7군(Seventh Army) 독일 Clay Kaserne, Germany[27]
- 제173공수여단 "스카이 솔저스 Sky Soldiers"
- 제2기병연대 "세컨드 드래군즈 2nd Dragoons"
- 태평양육군(United States Army Pacific) - 하와이 Fort Shafter, Hawaii
- 육군특수작전사령부(United States Army Special Operations Command, USASOC) - 노스캐롤라이나 Fort Bragg, North Carolina
- 해양군수보급사령부(Surface Deployment and Distribution Command) - 일리노이 Scott Air Force Base, Illinois
- 육군우주미사일방어사령부(United States Army Space and Missile Defense Command)/전략사령부(Army Strategic Command) - 앨라배마 Redstone Arsenal
- 제8군(Eighth Army) - 대한민국, 평택 캠프 험프리스(United States Army Garrison Humphreys)
- 제2보병사단 제1여단전투단
- 육군의무사령부(United States Army Medical Command) - 텍사스 Fort Sam Houston, Texas
- 육군정보보안사령부(United States Army Intelligence and Security Command) - 버지니아 주 Fort Belvoir, Virginia
- 육군범죄수사사령부(United States Army Criminal Investigation Command) - 버지니아 Marine Corps Base, Quantico
- 육군교정사령부(United States Army Corrections Command) - 버지니아 주 알링턴
- 육군공병대(United States Army Corps of Engineers) - 워싱턴 D.C.
- 육군워싱턴지구대(United States Army Military District of Washington) - 워싱턴 D.C. Fort Lesley J. McNair
- 육군시험평가사령부(United States Army Test and Evaluation Command) - 버지니아 알링턴
- 육군사관학교(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 뉴욕 웨스트포인트
- 육군예비군사령부(United States Army Reserve Command) - 노스캐롤라이나 Fort Bragg
- 육군기지관리사령부(United States Army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29] - 텍사스 Fort Sam Houston
- 육군사이버사령부(United States Army Cyber Command)/제2군(Second US Army) - 버지니아 Fort Belvoir
- 제1군(First Army) - 동부사단, 서부사단 연방예비군 및 주방위군 훈련
- 육군항공미사일사령부
- 육군전력사령부 (Army Forces Command): 로버트 에이브람스(Robert B. Abrams) 대장[79]
- 제85민사여단 (85th Civil Affairs Brigade)
- 항공교통센터 (Air Traffic Service Centre)
- 제20화학전사령부 (20th CBRNE Command): 윌리엄 킹 4세(William E. King IV) 준장
- 제32 야전방공 및 미사일 방어 사령부 (32nd Army Air and Missile Defense Command): 크리스토퍼 스필먼(Christopher Spillman) 준장
- 제11방공여단 (11th Air Defense Brigade)[33] - 미국 뉴멕시코 주, 텍사스 주 포트 블리스에 주둔
- 여단 사령부, 본부중대
- 제2방공포병연대 : 제1중대 - THAAD 운용
- 제4방공포병연대 : 제1중대 - THAAD 운용
- 제43방공포병연대 : 제1/2/3대대 - Patriot3 운용
- 제52방공포병연대 : 제5대대 - Patriot3 운용
- 제31방공여단 (31st Air Defense Brigade)[34]
- 제69방공여단 (69th Air Defense Brigade)[35]
- 제108방공여단 (108th Air Defense Brigade)[36]
- 제11방공여단 (11th Air Defense Brigade)[33] - 미국 뉴멕시코 주, 텍사스 주 포트 블리스에 주둔
- 포트 어윈 국립훈련소 (Fort Irwin National Training Center): 제프리 브로드워터(Jeffrey D. Broadwater) 준장
- 제11 기갑기병연대[37]
- 제1군단 (I Corps): 게리 볼레스키(Gary Volesky) 중장
- 제1 군단 전문화 대대 (I Corps Special Tropps Battalion)
- 제7보병사단 (7th Infantry Division)[41] : 토마스 제임스(Thomas S James) 중장
- 제2보병사단(2nd Infantry Division) "인디언 헤드 Indian Head" 산하 1/2여단전투단(스트라이커 BCT) [42]
- 제2보병사단 포병대 (Divsional Artillery, 2nd Infantry Division)
- 제593원정지원사령부 (593rd Expeditionary Sustainment Command) 존 헤일리(John F. Haley) 준장
- 제3군단 (III Corps): 폴 펑크(Paul E. Funk III) 중장
- 제3군단전문화대대 (III Corps Special Tropps Battalion)
- 제1보병사단 (1st Infantry Division) "빅 레드 원 Big Red One"[47] : 조셉 마틴(Joseph M. Martin) 소장
- 제1기갑여단전투단 (1st Armored Brigade Combat Team)
- 제2기갑 단전투단 (2nd Armored Brigade Combat Team)[46]
- 제1보병사단 포병대 (1st Infantry Divisional Artillery)
- 제1보병사단 항공여단 (1st Infantry Division Aviation Brgiade)
- 제1보병사단 지원여단 (1st Infantry Division Sustainment Brigade)
- 제1기병사단 (1st Cavalry Division): 존 톰슨(John JT Thompson) 소장[51]
- 제1기갑여단전투단 (1st Armored Brigade Combat Team)
- 제2기갑여단전투단 (2nd Armored Brigade Combat Team)[48]
- 제3기갑여단전투단 (3rd Armored Brigade Combat Team)
- 제1기병사단 포병대 (1st Cavalry Divisional Artillery)
- 제1기병사단 항공여단 (1st Cavalry Division Aviation Brgiade)
- 제1기병사단 지원여단 (1st Cavalry Division Sustainment Brigade)
- 제1기갑사단 (1st Armored Division): 로버트 화이트(Robert P. White) 소장
- 제1스트라이커여단전투단 (1st Stryker Brigade Combat Team)
- 제2기갑여단전투단 (2nd Armored Brigade Combat Team)
- 제3기갑여단전투단 (3rd Armored Brigade Combat Team)
- 제1기갑사단 포병대 (1st Armored Divisional Artillery)
- 제1기갑사단 항공여단 (1st Armored Division Aviation Brgiade)
- 제1기갑사단 지원여단 (1st Armored Division Sustainment Brigade)
- 제4보병사단 "아이비 디비전 Ivy Division"[49] : 랜디 조지(Randy George) 소장[50]
- 제1스트라이커여단전투단 (1st Stryker Brigade Combat Team)
- 제2보병여단전투단 (2nd Infantry Brigade Combat Team)
- 제3기갑여단전투단 (3rd Armored Brigade Combat Team)
- 제4보병사단 포병대 (4th Infantry Divisional Artillery)
- 제4보병사단 항공여단 (4th Infantry Division Aviation Brgiade)
- 제4보병사단 지원여단 (4th Infantry Division Sustainment Brigade)
- 제1기갑사단(1st Armored Division) "올드 아이언사이즈 Old Ironsides"
- 제1스트라이커여단전투단 (1st Stryker Brigade Combat Team)
- 제2기갑여단전투단 (2nd Armored Brigade Combat Team)
- 제3기갑여단전투단 (3rd Armored Brigade Combat Team)
- 제1기병사단(1st Cavalry Division) "퍼스트 팀 First Team"
- 제1기갑여단전투단 (1st Armored Brigade Combat Team)
- 제2기갑여단전투단 (2nd Armored Brigade Combat Team)
- 제3기갑여단전투단 (3rd Armored Brigade Combat Team)
- 제13원정지원사령부 (13th Expeditionary Sustainment Command): 로드니 포그(Rodny Fogg) 준장[59]
- 제3군단 직할대 (III Corps Asset)
- 제75화력여단 (75th Field Artillery Brigade)[52]
- 제36공병여단 (36th Engineer Brigade)[53]
- 제504 군사정보여단 (504th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54]
- 제89군사경찰여단 (89th Military Police Brigade)[55]
- 제1의료여단 (1st Medical Brigade)[56]
- 제11통신여단 (11th Signal Brigade)[57][58]
- 제3기병연대 "브레이브 라이플즈 Brave Riffles" (스트라이커)
- 제18공수군단
- 제18공수군단 전문화대대 (XVIII (Airborne) Corps Special Troop Battalion)
- 제3보병사단 (3rd Infantry Division) "마른 디비전 Marne Division"[63] : 레오폴도 퀸타스(Leopoldo A. Quintas) 소장[64]
- 제1기갑여단전투단 (1st Armored Brigade Combat Team)
- 제2기갑여단전투단 (2nd Armored Brigade Combat Team)
- 제1- 28대대전투단 (Task Force 1st Battalion, 28th Infantry Regiment)
- 제48보병여단전투단 (48th Infantry Brigade Combat Team)[60]
- 제3보병사단 포병대 (3rd Infantry Divisional Artillery)
- 제3보병사단 항공여단 (3rd Infantry Division Combat Aviation Brigade)
- 제3보병사단 지원여단 (3rd Infantry Division Sustainment Brigade)
- 제648기동증강여단 (648th Maneuver Enhancement Brigade)[61][62]
- 제10산악사단 (10th Mountain Division) "마운티니어즈 Mountaineers"[66][67] : 월터 피아트(Walter Pitatt) 소장
- 제1보병여단전투단 (1st Infantry Brigade Combat Team)
- 제2보병여단전투단 (2nd Infantry Brigade Combat Team)
- 제3보병여단전투단 (3rd Infantry Brigade Combat Team)
- 제86 보병여단 전투단 (86th Infantry Brigade Combat Team)[65]
- 제10산악사단 포병대 (10th Mountain Divisional Artillery)
- 제10산악사단 항공여단 (10th Mountain Division Combat Aviation Brigade)
- 제10산악사단 지원여단 (10th Mountain Division Sustainment Brigade)
- 제82공수사단 (82nd Airborne Division) "올 아메리칸즈 All Americans"[68] : 마이클 쿠릴야(Michael Kurilla) 소장
- 제1공수보병여단전투단 (1st Infantry Brigade Combat Team)
- 제2공수보병여단전투단 (2nd Infantry Brigade Combat Team)
- 제3공수보병여단전투단 (3rd Infantry Brigade Combat Team)
- 제82공수사단 포병대 (82nd Airborne Divisional Artillery)
- 제82공수사단 항공여단 (82nd Airborne Division Combat Aviation Brigade)
- 제82공수사단 지원여단 (82nd Airborne Division Sustainment Brigade)
- 제101공수사단 (101st Airborne Division) "스크리밍 이글즈 Screaming Eagles"[69] : 앤드루 포파스(Andrew P. Poppas) 소장
- 제1공중강습보병여단전투단 (1st Infantry Brigade Combat Team)
- 제2공중강습보병여단전투단 (2nd Infantry Brigade Combat Team)
- 제3공중강습보병여단전투단 (3rd Infantry Brigade Combat Team)
- 제101공수사단 포병대 (101st Airborne Divisional Artillery)
- 제101공수사단 항공여단 (101st Airborne Division Combat Aviation Brigade)
- 제101공수사단 지원여단 (101st Airborne Division Sustainment Brigade)
- 제3원정지원사령부 (3rd Expeditionary Sustainment Command): 크리스토퍼 모한(Christopher O. Mohan) 준장[78]
- 군단 직할대(Corps Asset)
- 제18화력여단 (18th Field Artillery Brigade)[70]
- 제20공병여단 (20th Engineer Brigade)[71]
- 제525군사정보여단 (525th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72]
- 제16군사경찰여단 (16th Military Police Brigade)[73]
- 제44의료여단 (44th Medical Brigade)[74]
- 제7수송여단 (7th Transportation Brigade)[75]
- 제3 통신여단 (35th Signal Brigade)[76]
- 제18항공작전지원여단 (18th Air Operations Support Group)[77]
미 육군사단은 대개 3개 여단전투단(Brigade Combat Team, BCT)을 예하에 두고 있는데, BCT는 크게 스트라이커BCT(Stryker BCT)/보병BCT(Infantry BCT)/중BCT(Heavy BCT)로 나누어진다.
- 사단
- 제1기갑사단(1st Armored Division) Old Ironside - 텍사스 Ft. Hood [image]
- 제1기병사단(1st Cavalry Division) First Team - 텍사스 Ft. Hood [image][81]
- 제1보병사단(1st Infantry Division) The Big Red One - 캔자스 Ft. Riley [image]
- 제2보병사단(2nd Infantry Division)Indianhead - 한국 Camp Red Cloud/ 워싱턴주 Ft. Lewis[82] [image]
- 제3보병사단(3rd Infantry Division) Rock of the Marne - 조지아 주 Ft. Stewart [image]
- 제4보병사단(4th Infantry Division) Ivy Division - 콜로라도 주 Ft. Carson [image]
- 제10산악사단(10th Mountain Division) Mountaineers - 뉴욕 Ft. Drum[83] [image]
- 제25보병사단(25th Infantry Division)Tropical Lightning - 하와이 Schofield Barracks [image]
- 제82공수사단(82nd Airborne Division) All Americans - 노스 캐롤라이나 Ft. Bragg [image]
- 제101공수사단(101st Airborne Division) Screaming Eagle - 켄터키 Ft. Campbell [image]
- 제173공수전투여단(173rd Airborne Brigade Combat Team) - 이탈리아 Caserma Ederle, Vicenza [image]
- 연대
8. 전력
9. 미 육군 항공전력
9.1. 특수 임무기
Special mission.
Dash 8 (Recce) (8기 운용 중)
DHC-7 (Recce) (7기 운용 중)
King Air 200/300/350 (MC/RC-12) (Recce) (83기 운용 중)
9.2. 수송기
Cargo transport.
Beech 1900 (3기 운용 중)
C-27J (7기 운용 중)
C212 (5기 운용 중)
Citation Encore/Ultra (28기 운용 중)
Gulfstream IV (1기 운용 중)
King Air 200/350 (C-12) (94기 운용 중)
Merlin IV/Metro (12기 운용 중)
9.3. 헬리콥터
Helicopter.
500MD (MH/AH-6M) (2020년 2월 47기를 운용 중이다.)
AH-64 (2020년 2월 총 792기(D/E형 혼합)를 운용 중이다.)
CH-47 (2020년 2월 총 442기(D형 394기, F형 48기)를 운용 중이며, F형 464기가 더 배치될 예정이다.)
SH-60 (EH-60) (2020년 2월 총 64기(A형)를 운용 중이다.)
CH-47 (MH-60) (2020년 2월 총 61기(D형 11기, E형 23기, G형 27기)를 운용 중이다.)
SH-60 (MH-60) (2020년 2월 총 58기(K형 23기, L형 35기)를 운용 중이다.)
SH-60 (UH-60) (2020년 2월 총 1,443기(A형 751기, L형 592기, M형 100기)를 운용 중이며, M형 1,227기가 더 배치될 예정이다.)
H145 (UH-72) (2020년 2월 총 341기(A형)를 운용 중이다.)
9.4. 훈련기/훈련용 헬리콥터
Training.
Bell 206 (116기 운용 중)
DHC-7 (1기 운용 중)
G120TP (CAE USA) (6기 운용 중)
UH-72 (현재 55기 운용 중이며 17기가 더 양산될 예정이다.)
King Air 100/200 (11기 운용 중)
Mi-24 (1기 운용 중)
T-6D (4기 운용 중)
10. 출신 인물
[image]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사진이다. [84] 앞줄 왼쪽부터 윌리엄 심슨(William Hood Simpson) 대장, 조지 패튼 대장, 칼 스파츠(Carl Andrew Spaatz) 육군항공 대장[85] ,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원수, 오마 브래들리 원수[86] , 커트니 호지스(Courtney Hodges) 대장, 레너드 기로(Leonard T. Gerow) 대장이다. 뒷줄은 비교적 후임자들로 랠프 스티얼리(Ralph Francis Stearley) 소장, 호이트 밴덴버그(Hoyt Vandenberg) 육군항공 대장[87] , 월터 비덜 스미스(Walter Bedell Smith) 대장, 오토 웨일랜드(Otto P. Weyland) 대장, 리처드 뉴전트(Richard E. Nugent) 중장이다.
육군 항공대 소속에서 미 공군으로 전군된 인물은 ☆
- 개비 가브레스키☆
- 김영옥
- 노먼 슈워츠코프
- 더글러스 맥아더
- 대니얼 앨런
- 데니스 비어
- 데스몬드 도스 : 영화 핵소 고지의 주인공으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영웅.
- 데이비드 로드리게스
- 데이비드 퍼킨스
-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제34대 미합중국 대통령.
- 디크 슬레이튼☆ : 육군 항공대 출신. 공군으로 전군.
- 레슬리 맥네어
- 레이먼드 오디에어노
- 로버트 리
- 로버트 에이브럼스
- 로이드 오스틴
- 마이크 빌스
- 마크 밀리
- 마틴 뎀프시
- 맥스웰 테일러
- 빈센트 브룩스
- 스탠리 매크리스털
- 앤 던우디 : 미군 최초의 여성 4성 장군.
- 앤드루 잭슨 : 제7대 미합중국 대통령.
- 어디 머피 : 전 세계적인 유명세를 가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영웅.
- 에디 슬로빅
- 엘비스 프레슬리 : 미국의 인기 가수. 서독에서 58년부터 60년까지 복무.
- 에릭 신세키 : 미군 최초의 아시아계 미국인 4성 장군.
- 앨버트 웨드마이어
- 앨빈 C. 요크 : 영화 요크 상사로 전 세계적인 유명세를 가진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영웅.
- 오마 브래들리
- 율리시스 그랜트
- 제임스 스튜어트☆ : 영화배우로 더 유명하지만 육군 항공대 폭격기 파일럿으로 공군으로 전군한 뒤 장군까지 진급한 기록이 있다.
- 제임스 해럴드 둘리틀☆
- 조셉 보텔
- 조지 S. 패튼
- 존 조지프 퍼싱 : 미군 최초의 대원수.
- 존 캠벨
- 찰스 린드버그 : 세계 최초 대서양 횡단의 주인공.
- 척 예거☆ : 육군 항공대 조종특기 사병 출신으로 공군 준장(+명예 소장)까지 지낸 먼치킨. 인류 최초 음속돌파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 킨들리 마이어스 : 미국의 인기 모델.
- 커티스 르메이☆ : 육군 항공대 출신. 뒤에 공군으로 전군.
- 커티스 스캐퍼로티
- 콜린 파월
- 크레이튼 에이브럼스[88]
- 클린트 이스트우드 : 미국의 유명 영화배우, 51년부터 53년까지 복무.
- 프랭크 그래스 : 정확히는 주방위군.
- 해리 S 트루먼 : 제33,34대 미합중국 대통령.
- 헨리 아놀드☆ : 육군 항공대-공군 역사상 유일무이한 원수.
- H.R. 맥마스터
- 리처드 조월 맥다니 [89][90]